Search

#025 #CI/CD-09 #ElasticBeanstalk 생성

ElasticBeanstalk 생성

검색창에서 Elastic Beanstalk 검색
메인 화면에서 애플리케이션 생성 클릭

환경 구성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환경이름이 생성 된다. 여기에 나온 두 이름이 프로젝트 내 deploy.yml 설 이름과 일치 해야된다.
application_name: ropa # 애플리케이션 이름 environment_name: Ropa-env # 환경 이름
Java
복사
AWS에서 설정한 이름과 deploy 설정 이름과 일치해야됨!

플랫폼

플랫폼과 브랜치를 위처럼 선택하면 버전이 자동으로 선택이 된다.

사전 설정

사전 설정에서 사용자 지정 구성을 선택하고 다음!

서비스 액세스 구성

제대로 따라왔다면 해당 내용을 선택할 수 있을것, 없다면 - IAM 섹션에서 역할 생성확인 - 키페어 섹션에서 키페어 생성 확인

네트워킹, 데이터베이스 및 태그 설정

VPC

vpc는 기본을 사용하면 되는데, 아마 제일 위에 있을 것

인스턴스 설정

퍼블릭 IP 주소 선택 인스턴스 모두 선택
다른거는 선택할 게 없으니 다음 클릭

인스턴스 트래픽 및 크기 조정 구성

용량

블루 그린 무중단 배포를 위해서 오토스케일링이 필요하다.

프로세스 추가

프로세스 추가는 헬스체크를 위해서 필요한데, 배포시 실행되는 테스트에서 헬스체크로 상태 코드 200을 받아야지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태 코드 200을 반환 할 수 있게 경로 / , 또는 /health 로 메소드를 설정을 해놓아야 된다.
그냥 MainController 내부에 /health 경로를 받는 메소드를 하나 만들자. 리턴 값은 그냥 ok!
기존에 있는 것을 선택하고 편집을 한다.
클릭하면 이런 작은 창이 뜨는데, 상태확인을 클릭한다.
클릭하면 이런 긴 창이 뜨는데, 여기서 상태코드랑 경로를 넣어준다.
변경확인
다음 클릭

업데이트, 모니터링 및 로깅 구성

롤링 업데이트 및 배포

여기서 배포 정책 배포 불가가 중요한 이유!!!!
한 번에 모두 : 무중단 배포가 불가능하다 (동시에 갈아 끼운다)
추가 배치를 사용한 롤링 : 추가 배치를 하여 금액적으로는 이득이 있지만 별로다!
한 번에 모두도 괜찮은듯 한데 우리가 변경 불가로 바꾸는 이유는?
한 번에 모두트랜잭션 관리가 힘들다.
이래서 블루그린 배포변경 불가트랜잭션 관리가 편해서 사용한다. ex) GitHub의 Branch 느낌

플랫폼 소프트웨어

플랫폼 소프트웨어 섹션에서 환경속성 칸에서 환경 변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이 RDS를 사용할 때 사용할 환경변수이므로, 아직 RDS를 설정해주지 않았지만, 이따가 RDS를 만들 때 여기 USERNAME과 PASSWORD 대로 설정을 해줘야 할 것이다. 그리고 RDS_HOST는 RDS의 엔드포인트를 넣어야 되므로, RDS 생성하고 나서 알수 있다. 생성하면 여기에 넣을 것!!
다 설정했으면 다음을 클

검토

검토 단계에서는 건들게 없다.
제출하면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