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오답노트 1~20

오답 문제 Section

오답노트 001

1.
상호 배제의 문제는 병행하여 처리되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동시에 접근하기 떄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공유되는 자원에 대한 처리 내용 중에서 상호 배제를 시켜야하는 일정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동안에 다른 프로세스의 접근을 허용하지 말아야한다. 이 때, 상호 배제를 시켜야 하는 일정 부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a.
Working Set
b.
Page
c.
Semaphore
d.
Critical Section

오답노트 002

2.
모니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한 순간에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모니터에 들어갈 수 있다.
b.
모니터의 경계에서 상호 배제가 시행된다.
c.
모니터 외부의 프로세스는 모니터 내부 데이터를 접근 할 수 없다.
d.
특정 공유 자원이나 한 그룹의 공유 자원을 할당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시저를 포함하는 병행성 구조이다.

오답노트 003

3.
세그먼테이션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프로그램을 가변적인 크기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눈다.
b.
외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내부 단편화는 발생할 수 있다.
c.
주소 변환을 위해서 페이지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페이지 맵 테이블 (Page Map Table)이 필요하다.
d.
페이지 맵 테이블 사용으로 비용이 증가되고, 처리 속도가 감소된다.

오답노트 004

4.
다음 중 배치 (Placement) 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새로 반입된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가를 결정하는 전략이다.
b.
주기억장치에 넣을 다음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언제 가져올 것인가를 결정하는 전략이다.
c.
새로 주기억장치에 배치되어야 할 프로그램이 적재될 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어떤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제거할 지 결정하는 전략이다.
d.
실행 중이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미리 예상하여 적재하는 전략이다.

오답노트 005

5.
자원 보호 기법 중 접근 제어 행렬에서 수평으로 있는 각 행들만을 따온 것으로서 각 영역에 대한 권한은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연산자를 구성되는 것은?
a.
Global Table
b.
Access Control List
c.
Capability List
d.
Lock/Key

오답파트 공부조각

세마포어 (Semaphore)

‘신호기’, ‘깃발’을 뜻하며, 각 프로세스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순서대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세마포어는 다익스트라(E. J. Dijkstra)가 제안하였으며, P와 V라는 두개의 연산에 의해 동기화를 유지시키고 상호 배제의 원리를 보장한다.
S는 P와 V연산으로만 접근 가능한 세마포어 변수로, 공유 자원의 개수를 나타내며 0과 1 혹은 0과 양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모니터 (Monitor)

모니터는 동기화를 구현하기 위한 특수 프로그램 기법으로 특정 공유 자원을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시저로 구성된다.
자료 추상화와 정보 은폐 개념을 기초로 하며 공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병행성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모니터의 경계에서 상호 배제가 시행된다.
모니터에는 한순간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진입하여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세그먼테이션 기법 (Segmentation)

가상 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한 크기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눈 후 주기억장치에 적재시켜 실행시키는 기법이다.
프로그램을 배열이나 함수 등과 같은 논리적인 크기로 나눈 단위를 세그먼트라고 하며, 각 세그먼트는 고유한 이름과 크기를 갖는다.
기억장치의 사용자 관점을 보존하는 기억장치 관리 기법이다.
세그먼테이션 기법을 이용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기억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이다.
주소 변환을 위해서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세그먼트 맵 테이블 (Segment Map Table)이 필요하다.
세그먼트가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때 다른 세그먼트에게 할당된 영역을 침범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해 기억장치 보호키 (Storage Protection Key)가 필요하다.

기억 장치의 관리 전략

반입(Fetch) 전략
보조기억장치에 보관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언제 주 기억장치로 적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이다.
배치 (Placement) 전략
새로 반입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이다.
최초적합 (First Fit), 최적적합 (Best Fit), 최악적합 (Worst Fit)
교체(Replacement) 전략
주기억장치의 모든 영역이 이미 사용중인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 장치에 배치하려고 할 때, 이미 사용되고 있는 영역 중에서 어느 영역을 교체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이다.
교체 전략에는 FIFO, OPT, LRU, LFU, NUR, SCR 등이 있다.

권한 (자격) 리스트 (Capability List)

접근 제어 행렬에 있는 각 행, 즉 영역을 중심으로 권한 리스트를 구성한 것이다.
각 영역에 대한 권한 리스트는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조작 리스트로 구성된다.
권한 리스트는 영역과 결합되어 있지만 그 영역에서 수행중인 프로세스가 직접 접근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권한 리스트는 운영체제에 의해 유지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간접적으로만 접근 되는 보호된 객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