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CSS 영역구조

CSS 영역구조

CSS (Cascading Style Sheets) → 문서를 구조화 하는 기능
CSS영역은 Style - Head 섹션안에 넣어야 된다.
태그명을 적고 중괄호 사용한다.
키와 밸류가 뭐가 있는지 배워야 된다.
마진/보더/패딩/태그 영역의 이해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서 영역을 시각화 하는 모습을 보면 구조를 알 수 있다.
DIV영역과 마진영역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설정된다.
모니터 크기가 달라도 해상도가 같으면 픽셀 갯수는 같다.
하지만 모니터 크기가 다르다면 한 픽셀당 굵기는 다를 수 있다.
경계선을 점선으로 만들기
CSS영역에서 아래 코드를 넣으면 점선으로 표시가 된다.
border: 2px dotted black;
CSS
복사
경계선을 실선 10px로 만들기
border: 10px solid black;
CSS
복사
패딩 10px만들기
padding: 10px;
CSS
복사
안의 내용물인 숫자가 경계선에서 10px 떨어진 것을 확인 할 수있다.
태그 박스의 높이를 구하기
파란색 영역이 DIV영역이고 가로 *높이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는 50이다.
현재 태그의 모든 영역을 보면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보더 : 위 10 + 아래 10
패딩 : 위 10 + 아래 10
마진 : 아래 10
DIV영역 : 50
총 높이 : 100px
Inline영역의 특징
//Style 섹션에 아래 문구를 넣어본다. display: inline;
CSS
복사
인라인 영역은 내용물의 크기만큼만 공간을 할당한다.
때문에 사용자가 컨트롤하기 어렵다.
인라인으로 설정하면 안에 태그가 auto로 지정이 되는데, 이것은 인라인이 내용만큼만 공간을 할당한다는 뜻이다.
height: 200px;
CSS
복사
inline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height를 200px으로 맞추어도 먹질 않는다.
인라인은 내용물 만큼만 감싸는 특성이 있다.
width: 200px; height: 200px;
CSS
복사
사이즈를 내가 지정하고 싶을 때는 inline-block을 지정한다.
widthheight가 내가 설정한 200px이 들어갔다.
하지만 나열되지 않고 각 요소들이 다음 요소로 넘어가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inline-block 의 특징이고 내용물을 내가 저장한 크기로 감싸고 전체 라인을 비워주는 특성이 있다.
CSS공부방향!!
CSS는 고유의 패딩값, 보더값, 마진값을 확인하면서 공부해야된다.
태그 특성들을 무효화 시키고 일해야 관리하기가 편하다.
크기를 설정하고 싶을 때는 inline-block , 전체 줄에 할당하고 싶을 때는 block
inline은 거의 쓸 일이 없다.
AirBNB 사이트를 카피 할 수 있는 것이 단기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