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시 56분 시작
•
주 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종 프로세서는 연산 만을 담당한다.
•
강결합 시스템은 프로세스 간의 통신이 공유메모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
약결합 시스템은 각 프로세서마다 독립된 메모리를 사용한다.
•
분산처리 시스템은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보안성 유지가 어렵다.
•
분산처리 시스템은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소프트웨어 개발이 어렵다.
•
성형구조는 중앙사이트가 고장날 경우 모든 통신이 단절된다.
운영체제의 실제
•
보안 관리는 Kernel의 역할이다.
•
파일의 권한 모드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chmod이다. cat은 파일 내용을 화면에 복사.
•
unix - inode블록에서는 디렉토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은 가지고 있지 않다.
•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PS이다. Process State
•
디스크를 초기화하여 표면을 트랙과 섹터로 나누는 것을 포맷이라 한다.
정보통신의 기본
•
중앙처리장치는 전송계가 아니고 처리계에 해당한다.
•
모뎀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조기능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시키는 복조기능이다.
•
DSU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회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
RS-232C 인터페이스는 25개의 핀으로 구성된다.
•
패킷형 터미널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은 X.25입니다.
•
주파수 대역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대역이 필요하다.
•
데이터 단말장치 DTE와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 DCE의 접속 규격은 RS-232C이다.
11시 5분 56p
정보 전송 기술
•
광섬유 케이블은 무유도 성질이므로 전자기적 잡음에 강하다.
•
클래드는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
8위상이란 2진수 3비트로 표현가능한 수이므로 변조시 상태변화 수는 3bit입니다. 변조 속도 (baud) = 데이터 신호속도 (bps) / 변조시 상태변화수 = 4800/3 = 1600 baud이다.
•
쿼드비트는 4bit를 의미한다. bps = 1200 * 4 = 4800
•
전송방식/ 전송제어
•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의 사용은 비동기식 전송의 특징이다.
•
패리티 비트는 1비트 오류 검출, 해밍코드는 오류의 수정가능, CRC는 다항식 코드
•
Hamming Code는 수신 측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를 검출 한 후 직접 수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오류 검출은 물론 스스로 수정까지 하는 것을 자기정정 부호방식이라고 한다.
•
회선 접속 - 데이터 링크의 확립 - 정보의 전송 - 링크 종결 - 회선의 절단
•
플래그 - 주소부 - 제어부 - 정보부 - FCS - 플래그
•
표준 응답 모드는 주국의 허가가 있을 때에만 송신하고, 비동기 응답모드는 주국의 허가 없이도 송신이 가능하고, 비동기 균형모드는 혼합국끼리 허가 없이 언제나 송신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
변조와 복조는 모뎀의 기능이다.
•
ARQ방식에는 Stop and Wait, Go-back-N, Selective Repeat, Adaptive ARQ가 있다.
통신 프로토콜
•
베이스 밴드 계층은 x.25 프로토콜 계층이 아니다. x.25는 물리계층, 프레임 (데이터 링크) 계층, 패킷 계층으로 구분된다.
•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면 두 개체 간의 데이터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 규칙, 통신 규약, 통신 절차 등의 단어가 들어가면 정답일 확률이 높다.
•
UDP는 전송 계층과 관련된 프로토콜이다.
•
UDP는 신뢰성보다 속도가 중요시 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OSI 참조 모델
•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기능은 네트워크 계층 핵심 기능입니다.
•
UDP는 전송계층의 프로토콜이다.
•
암호화, 데이터 압축, 코드 변환 등은 프레젠테이션(표현) 계층의 기능이다.
•
경로설정, 트래픽 제어는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 기능이다.
•
UDP는 전송 계층에 속한 프로토콜이다.
경로제어프로토콜
•
거리벡터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RIP, EIGRP, BGP등이 있고, 링크 상태(Link Stat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에는 OSPF가 있다.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은 전자 우편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정보 통신망 기술
•
실시간 전송이나, 대량의 데이터 전송에 가장 적합한 것은 회선 교환 방식이다.
•
100BaseT 는 이더넷의 고속 버전으로 UTP케이블을 이용해 100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IPv6의 주소체계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이다.
•
Square는 LAN의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아니다.
•
IPv6는 16비트씩 8부부느, 총 128비트로 구성된다.
•
IPv6는 16비트씩 8부분, 총128비트로 구서되며, 각 부분을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한다.
•
IPv4의 B 클래스에 해당하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 255.255.0.0이다.
•
패킷 교환 방식은 디지털 전송에 최적화 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