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Branch 사용법
Git Branch를 만들기전 Git status를 체크한다.
git status
Java
복사
•
이 상태에서 코멘트에서 working tree clean 을 확인하고 브랜치를 생성해야된다.
•
아마 커밋을 하지 않은 상태르면 commit이랑 push를 하고 체크해야지 working tree clean이 뜰 것이다.
Test이름의 Git Branch 생성
git branch test
Java
복사
•
test라는 이름의 git branch를 생성하였다.
여기서 git branch를 입력하면 어떤 브랜치가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git branch
Java
복사
•
현재 master브랜치 안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rach 이동하기
git checkout test
Java
복사
그리고 여기서 BinaryTest01이라는 클래스를 생성해본다.
•
위의 BinaryTest01는 test브랜치 안에서 생성된 클래스이다.
•
그리고 master브랜치로 이동하고 싶을 때는 꼭 커밋과 푸시를 하고 넘어가야지 저장이 된다.
master 브랜치로 이동해보겠다.
git checkout master
Java
복사
참고로 switch도 브랜치 이동이 가능하다.
git switch master
Java
복사
•
master 브랜치로 이동을 했더니 test브랜치에서 만들었던 BinaryTest01 클래스가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브랜치를 활용하는 이유는
코드를 완성하기 전 수많은 테스트 파일이 생성이 될 것인데,
그것 때문에 master브랜치가 되게 난잡하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 master브랜치를 깔끔하게 정리하게 위해서 다른 브랜치들을 생성해서 사용하는 용도라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