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006 #파일처리시스템 vs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컴퓨터는 이진수만 저장할 수 있고 이를 bit라고 한다.
bit x 8 = byte>> x1024 >> kilobyte>> x1024 >> megabyte>> x1024 >> gigabyte>> x1024 >> terabyte>> x1024 >> petabyte >> x1024 >> exabyte >> x1024 >> zettabyte >> x1024 >> yottabyte

데이터 찾기

데이터 베이스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파일처리 시스템

전통적인 데이터 관리는 어떻게 해왔을까?

파일과 표
스프레드 시트
각각의 업무에 따라서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하는 방식

파일 처리시스템의 문제

업무가 확장 될 경우 문제가 된다,
학적파일, 성적파일이 다를때 학생정보로 성적을 조회할 수 없었다.
학적파일에, 성적파일을 쌓을 수 밖에 없고, 성적 파일은 여러파일에 중복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두 디스크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게 설계되지 않은 APP은 문제를 일으킨다.
파일 처리시스템은 간단하고 간편하지만, 여러 일관성 이슈로 인해서 신뢰성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 웨어
데이터 사용과 관리의 역할을 분배한 것
사용자의 정보 요청 (질의) 을 DBMS에서 담당하게 되고, 이 질의를 파악하는 소프트웨어 내장 되어 있다.
메타데이터!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의 정의
12는 서로의 관점에 따라서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지만 여기에 메타데이터가 붙으면 다른 의미가 된다.
12이란 값에 메타데이터가 [오늘/ 낮] 이 붙으면 낮 최고기온 12도로 데이터가 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자기기술성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데이터와 더불어 데이터의 구조 (스키마)와 설명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프로그램과 데이터 격리 및 추상화

사용자에게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인 표현을 제공하며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한다.

다중 뷰를 제공한다

사용자들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관점의 데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데이터 베이스의 일부만을 표현하는 뷰(view)를 제공한다.

데이터 공유와 다수 사용자 트랜잭션 처리

다수의 데이터 조작 요청에도 트랜잭션을 이용한 동시성 제어 (concurrency control) 기능을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DBMS의 구조

외부 단계 / 개념 단계 / 내부 단계

사이트 접속

보안을 위해서는 필수쿠키만 허용!

다운로드 클릭

해당 링크는 무료버전
위 버튼은 네트워크로 다운하는 최소화 버전 아래 버튼은 설치 총 용량파일을 먼저 다운받고 설치
만약에 포트 3306 옆에 표시가 떠서 NEXT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 있다면, 현재 다른 프로그램이 3306포트를 사용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 시켜야된다.
실행에서 CMD를 관리자의 권한으로 실행한다.
아래 명령어로현재 사용중인 모든 포트를 조회하고 PID번호도 알수 있다. 현재 3306포트가 사용중이라면 PID번호를 기억하자
netstat -ano
Java
복사
특정 PID 선택해서 종료시키기
taskkill /f /pid pid번호
Java
복사
프로세스가 사용가능하면 NEXT를 눌려준다.
패스워드를 암호화해서 사용하겠다는 뜻, 해당 설정을 선택하자!
RootPasswords 는 모든 권한을 가진 비밀번호임으로 신중하게 선택!
next가 뜨면 계속 누르고, execute까지 클릭한다.

한글 깨짐 해결

menu를 클릭해서 preference로 들어온다. Appearance로 들어가서 아래 선택된 부분은 Korean으로 바꿔준다.
클릭해서 이름을 바꿔준다.
“맑은 고딕” 정확히 문법을 지켜서 바꿔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