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002 #Variables

JavaScript Variables document.getElementedById(”demo”) document는 현재 웹페이지를 가르키며, HTML문서 전체를 가리킨다. .getElementById(”demo”)는 document 객체의 method라고 보면된다. 이 메소드는 괄호안에 지정된 ID값을 가진 HTML 요소를 찾는다. 여기서는 demo이다. .innerHTML 찾은 요소의 innerHTML속성에 접근한다. 이 속성은 HTML 요소의 내부 HTML 컨텐츠를 나타낸다. 그 요소안에 어떤 HTML 또는 텍스트가 있는지 나타낸다. = “The value of z is : “ + z; 문자열 “The value of z is: “ 와 변수 z의 값을 연결하여 그 결과를 앞서 찾은 HTML요소의 ‘innerHTML’ 속성에 할당한다.
<!DOCTYPE html> <html> <body> <h1>JavaScript Variables</h1> <p>In this example, x, y, and z are undeclared.</p> <p>They are automatically declared when first used.</p> <p id="demo"></p> <script> x = 7; y = 6; z = x * y; document.getElementById("demo").innerHTML = "The value of z is: " + z; </script> </body> </html>
JavaScript
복사
var 키워드는 1995년 부터 2015년까지 사용되던 문법이다. letconst 키워드는 2015년 부터 추가가 되었다. var키워드는 오래된 브라우저에만 사용하면 된다.
var x = 5; var y = 6; var z = x + y;
JavaScript
복사
let x = 5; let y = 6; let z = x + y;
JavaScript
복사
const x = 5; const y = 6; const z = x + y;
JavaScript
복사
혼합 사용된 예시이다. const로 선언이 되면 할당된 값은 변하지 않는다. 여기서 totallet으로 선언이 되었는 데, total 값은 바뀔 수 있다.
const price1 = 5; const price2 = 6; let total = price1 + price2;
JavaScript
복사
중요 포인트! 항상 변수를 선언하여서 사용한다. 변수 값이 변하지 않아야된다면 const로 선언한다. const를 사용할 수 없을때는 let으로 선언한다. 오래된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만 var를 사용한다.